1단계 : 의식
1) 표층(현실)의 문제
가족관계, 대인관계, 환경에 대처하는 능력 등을 탐색한다. 상담 초기에 내담자에 의해 제공된 내용들은 대체로 고백을 통해 이루어진다.
2) 고백
자신에게 진실해지는 과정이며 이 과정은 상당한 고통을 수반한다. 무의식에 내재된 수많은 비밀은 고백과정 중에 연상이나 꿈을 통해 자연스럽게 의식화되기도 한다. 의식의 고백에 의해 무의식에 숨은 비밀이 드러나는 것이 곧 의식화이다.
3) 내담자가 제공한 자료
상담의 초기 단계에서 치료를 위한 결정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내담자의 개인사는 인간적인 배경과 고통에 대한 유효한 정보를 제공한다.
2단계 : 개인무의식
1) 지층
개인무의식을 다루는 단계이다. 현실에서 발생한 억압적 내용이나 콤플렉스의 내용을 다루면서 인격의 어두운 면인 그림자를 탐색하는 과정이다. 내담자가 처한 사회문화적 환경에서 발생하는 무의식적 요소 역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2) 상담자, 내담자 및 내담자 관련 대상들
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심리작용을 관찰한다. 내담자가 제공한 자료의 표면적 의미뿐만 아니라 그 내면에 담긴 무의식적이고 상징적인 의미에 주목해야 한다.
3) 자유연상
- 프로이트 : 구체적 상황이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자유롭게 연상을 유도한다.
- 융 : 꿈 분석처럼 주어진 맥락을 기초로 연상을 시행한다. 예를 들어 내담자가 제기한 문제나 개인사, 혹은 꿈이나 환상 등에 나타난 이미지에 대해서 "이것을 보면 무엇이 생각나는가?" 라는 질문을 통해 기억의 연결고리를 추적하여 주요 콤플렉스를 발견한다.
4) 전이
상담자와 내담자의 공감적 토대는 무의식적으로 발생하는 전이와 역전이 현상을 필수적으로 동반한다. 내담자는 상담자로부터 좋은 치료 결과를 기대하면서 자신의 내면에 있는 좋은 대상, 특히 치유력이 있는 대상을 상담자에게 투사한다. 상담이나 분석과정에서 내담자가 일단 투사된 내용의 기원을 알게 되면 의식에 통합되어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의식화를 거부하고 계속해서 내적 대상을 상담자에게 투사한다. 또한 전이가 항상 긍정적인 방향으로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긍정적인 전이는 상담자에 대한 애정과 존경으로 나타나지만, 부정적인 전이는 적대감과 저항으로 드러난다. 전이 내용은 유아기적 성적 환상 외에도 내담자를 신경증으로부터 해방시킬 많은 창조적 내용을 담고 있다. 내담자에게 신경증을 유발시킨 대상관계방식이 치료과정에허 전이를 통해 재현될 수도 있다. 상담자의 전이에 대한 객관적이고 올바른 이해는 치료를 위해 필수적이고, 전이는 그 자체로 감정의 전달이기 때문에 내담자의 경험이 중요하며, 전이에 대한 해석은 가능한 한 내담자의 언어로 번역되어야 한다.
5) 역전이
상담자 역시 자신의 내적 대상을 내담자에게 투사시킴으로써 때때로 치료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주로 부모상을 투사한다면,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자녀상을 투사하는 경우가 많다. 역전이는 주로 전이에 대한 상담자의 반응에서 나타나지만, 때로는 전이와 관계없이 단독으로 발생한다. 상담자와 내담자의 무의식적으로 동일시됨으로써 혼돈 상태에 함께 빠지게 된다. 상담자는 전이와 자신의 역전이를 냉철하게 분석해서 치료에 미친 영향을 파악해야 한다. 치료 중 상담이 힘들어지거나 중단하고 싶은 충동이 올라올 때 역전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3단계 : 집단무의식
1) 심층
집단무의식을 다루는 단계이다. 무의식의 심층에 내재된 원형은 인류에게 선천적으로 부여된 행동과 사고 및 감정의 틀이다. 자아콤플렉스와 개인무의식 그리고 원형 사이에 심리적 역동을 총체적으로 관찰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꿈, 민담, 신화 등에 나타난 원형적 이미지들이 집단무의식 속에 내재된 정신의 원초적 성향들을 보여준다. 내담자는 꿈이나 환상 속에 원형적 이미지가 발견될 때, 상담자는 확충 혹은 적극적 상상을 통해 집단무의식의 내용에 보다 가깝게 접근할 수 있다.
2) 꿈의 해석
무의식의 내용을 알 수 있는 가장 좋은 길이다. 꿈에 나타난 내용과 연상을 통해 얻어진 정보들을 토대로 기억재생의 원리에 따라 전체적 내용을 재구성하여 객관적으로 해석한다. 꿈의 모든 부분을 일단 모르는 것으로 여기고 내용의 맥락을 받아들인 후에 해석을 시도한다. 꿈을 해석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꿈에 나타는 원형적 요소들이 다른 신화나 민담 혹은 동화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방식을 연구해서 꿈의 의미를 확대하는 작업인 확충법이다. 꿈에 대한 주관적 해석에 적용된 확충법은 경계선 인격장애나 정신분열증 환자에게도 유효하게 적용된다. 두번째는 적극적 상상이다. 눈을 뜨고 꿈을 꾸는 것과 유사하다. 꿈이나 환상 속에 등장하는 이미지에 집중한 후, 자아의 의식적 참여를 통해 무의식의 내용을 겸손하게 판단한다.
4. 융의 상담과정
융은 상담과정을 4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했다
- 고백단계 : 내담자의 억제된 감정, 숨겨운 비밀을 치료자에게 털어놓고 공요하는 과정이다.
- 해석단계 : 꿈, 환상, 전이, 억압된 소망 등의 무의식적 의미를 해석하여 무의식에 대한 이해 확장 및 심화
- 교육 : 신경증과 성격정애와 같이 오랜 기간에 걸쳐 만들어진 완고한 습관은 무의식의 통찰만으로 되지 않으며 지속적인 연습을 통해 변화될 수 있다.
- 변환 : 치료자와 내담자의 깊은 인격적 교류를 통해 심오한 변화가 생성된다.
5. 공헌과 한계점
무의식에 대한 심층적 접근과 이해를 제공했고, 치료 목표를 증상 해소가 아닌 정신 전체의 통합과 진정한 자기실현으로 확대한 공헌점이 있다. 반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검증이 어려우며 치료 대상이 제한적이어서 엘리트를 위한 치료라는 비판을 받았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들러학파 심리치료 - 주요개념 (0) | 2024.09.17 |
---|---|
아들러학파 심리치료 - 인간관 (0) | 2024.09.17 |
성격의 유형과 발달 (0) | 2024.09.17 |
자아방어기제 (0) | 2024.09.17 |
분석심리학 (0) | 2024.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