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심리학67

집단상담 집단상담은 사람들이 자신을 이해하도록 도와주고, 대인관계에서 생기는 불편함, 이해받지 못하는 소외감, 오해와 갈등을 집단원과 함께 느끼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해준다. 지식이 아닌 실제적인 자기 체험을 통하여 심리적·정서적으로 안정되고 성숙한 인간이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며, 자신뿐만 아니라 주위에 있는 다른 사람의 문제 해결에도 도움을 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기존의 일방적인 주입식 강의나 토의처럼 지식에 촛점을 두는 전통적인 형태의 교육과는 전혀 다른 체험이며, 개인이 자기를 성찰하고 정리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기에 직접 참여하여 스스로 생각하고 느끼는 내용을 서로 주고받는 과정에서 변화를 체험할 수 있는, 짧지만 서로를 깊이 알 수 있는 참만남의 시간이 된다.  1. 집단상담의 필요성과 정.. 2024. 9. 22.
대상관계 상담 - 마가렛 말러 대상관계 상담의 학자 중 한명인 마가렛 말러에 대해 이야기 해보자. 마가렛 말러는 정신분석적 관점으로 아동기 정신병을 개념화하는 일을 선구적으로 시작하였다. 이후에는 연구 영역을 정상 아동 및 그들의 엄마를 관찰하는 일로 확대하였따. 언어 사용 시기 이전의 아동 내면에서 일어나는 심리 과정을 추론하고, 생후 3년 동안 아동의 심리 내부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에 대하여 묘사하고 그것을 공식화 시켜, 아동발달과 대상관계에 대한 연구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1. 중요개념1) 분리와 개별화출생 후 어머니와의 관계에서의 공생과 개성화의 과정으로 대상관계 이론을 설명하였다. 유아의 탄생을 생물학적 탄생과 심리적 탄생으로 나누었다. 심리적 탄생은 한 아동이 어머니를 떠나 분리-개별화되는 과정으로서의 정신 내적 과정을 .. 2024. 9. 22.
대상관계 상담 - 도날드 위니캇 대상관계 상담의 학자 중 한명인 도날드 위니캇에 대해 알아보자. 도날드 위니캇은 자신의 컨설턴트인 멜라니 클라인의 영향을 받았다. 형태를 제대로 갖춘 심리학 체계를 구축하지는 않았으나 아동발달의 영역에 관심을 두고, 특히 엄마와 아동 간의 상호작용에 주안점을 두고, 부모와 아동간의 관계가 아동의 정서적, 사고적 팔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그의 주장들은 논리적이라기보다는 추론적이며 놀이적 요소를 자극하는 역설을 포함하고 있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자신의 독창적인 시각을 통한 변형으로 전통을 파괴한 후 재창조의 과정으로 오래되고 낡은 전통에 생명력을 불어넣었다. 1. 중심 개념 - 충분히 좋은 엄마전적으로 의존적인 유아를 위한 최적의 향상성과 위로를 제공하는 환경의 엄마를 의미한.. 2024. 9. 22.
대상관계 상담 - 페어베언 대상관계 상담의 학자인 페어베언은 추동이론에 근거한 프로이트의 성격발달 관점에 한계를 느끼고 자아에 촛점을 둔 대상관계 개념들을 이론화하였다. 성격발달에서 쾌락의 원리가 갖는 중요성을 거부하고, 리비도는 쾌락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인 대상을 지향한다고 가정하였다. 쾌락은 그 자체를 위해 추구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생물학적인 면을 강조하지 않고 오로지 순수하게 심리적인 모델을 설명하며 가장 '순수한' 대상관계 모델을 제시했다. 중심개념은 동기와 대상의 성격, 심리 내적 상황, 프로이트와의 차이가 있다. 1. 동기와 대상의 성격 - 기본적 욕구인간은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자 갈망한다. - 리비도대상 추구적이며, 그 대상이란 언제나 인간이다. - 인간행동의 동기자아가 대.. 2024. 9.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