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관계 상담의 학자인 페어베언은 추동이론에 근거한 프로이트의 성격발달 관점에 한계를 느끼고 자아에 촛점을 둔 대상관계 개념들을 이론화하였다. 성격발달에서 쾌락의 원리가 갖는 중요성을 거부하고, 리비도는 쾌락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인 대상을 지향한다고 가정하였다. 쾌락은 그 자체를 위해 추구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생물학적인 면을 강조하지 않고 오로지 순수하게 심리적인 모델을 설명하며 가장 '순수한' 대상관계 모델을 제시했다. 중심개념은 동기와 대상의 성격, 심리 내적 상황, 프로이트와의 차이가 있다.
1. 동기와 대상의 성격
- 기본적 욕구
인간은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자 갈망한다.
- 리비도
대상 추구적이며, 그 대상이란 언제나 인간이다.
- 인간행동의 동기
자아가 대상과 관계 맺기를 갈망하는 것이다.
- 심리 내적 상황
자아가 내면화된 대상들과 관계를 맺고 있는 구조이다. 자아는 실제 외부 사람들과 관계를 추구한다. 만족할 경우 온전한 상태이지만, 불만족할 경우에 나쁜 외적 대상을 밖에 두는 것이 아니라 내적 대상으로 만들어 자신의 성격에 포함시켜, 자아의 통일성에 분열이 발생된다. 페어베언은 욕동모델이 부적절하다고 보고, 대상이 정신적 표상을 통해 내면으로 받아들여지는 과정을 강조했고, 그 과정에서 대상이 자아의 여러 다른 부분들과 관계 맺는 방식에 촛점을 두었다.
2. 성격구조
자아는 세 가지 측면이 있고, 각 측면들은 대상의 각기 다른 측면들과 관계를 맺는다.
- 중심자아(Central Ego)
'나'는 환경과 관계되어 있고 의식과 무의식적 요소들로 구성되어있다. 2개의 자아들을 자신으로부터 적극적으로 갈라놓으며, 방어가 필요하다면 그것을 억압한다.
- 리비도적 자아(Libidinal Ego)
자기의 일부분으로 공격당하거나 박해당할 뿐만 아니라 갈망하는 상태로 느껴지기도 한다.
- 내적 파괴자(반리비도적 자아 또는 공격적 자아)
초자아와 비슷하게 작용한다. 무엇인가를 갈망하는 자기의 측면(리비도적 자아)에 대해서 공격적이고 적대적이다.
3. 발달단계
- 성장
대상으로부터 받기만 하는 유아적 태도에서 개별화된 둘 사이에 서로 주고받는 성숙한 태도로 이동하는 것이라 설명한다. 성격발달은 곧 자아 발달을 의미하며, 자아 발달은 대상과 관계하는 방식의 변화를 의미한다.
- 유아적 의존단계
아동은 최초의 주요 양육자, 즉 어머니와 심리적으로 함입된다. 아동이 어머니와 철저하게 함입되어 대상과 동일시하는 현상을 일차적 동일시라고 하고, 대상과의 동일시 및 구겅에 의한 함입, 받아들임이 특징이며, 항문기도 포함한다.
- 과도기적 단계
일방적 의존에서 벗어나 성숙한 상호의존의 관계로 이동하는 중간단계이다. 대상과 자신을 구별하기 위해 거절하는 기술을 사용하지만, 여전히 대상에 의존한다. 대상을 양분할 수 있고 거절을 통하여 자아분화를 성취해 나간다. 자기와 대상간의 분화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의존적인 대상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성공적인 발달과제이다.
- 성숙한 의존단계
남에게 줄 수 있는 능력이 많아지는 단계로 상호적인 주고받기가 가능한 단계이다. 분화된 대상과의 상호 의존적인 유대를 유지할 수 있으며, 완전한 분화를 통해 성숙된 대상관계를 형성한다. 발달과정은 개인이 대상으로부터 점차 개별화되는 것이며, 발달적 모델은 동일시에 기반해서 유아적 대상관계(대상으로부터 개별화되는 것이 아니라 대상과 같이 되는 것)로부터 온전하고 개별화된 대상과 성숙한 대상관계를 맺는 것으로 설명한다.
4. 병리와 내면화된 대상
내면세계에 파괴성을 지니고 존재하는 나쁜 내적 대상들과 자아가 맺는 관계의 측면에서 병리를 이해한다. 나쁜 내적 대상들은 자아의 각기 다른 부분들과 관계를 맺고 있으면서 억압되어 있다. 사람은 '나쁜 것'을 자기로부터 내면화시켜 통제하려고 하고, 나아가 대항, 억압을 통해 방어하면서 무의식 속으로 추방한다. 내적인 나쁜 대상들이 과하게 되어 통제 불가능한 정도로 억압하지 못하면 다양한 방식의 심리적 문제들이 야기될 수 있다.
5. 분석적 치료
치료는 사람들과 직접적이고 온전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능력을 회복시키는 것이고, 치료의 목적은 무의식으로부터 나쁜 대상들을 해방시키는 것이다. 치료자는 나쁜 대상들로부터 해방되도록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 환자에 대해 충분히 좋은 대상이 되어야 한다.
6. 평가와 비판
프로이트의 본능과 욕동에 의한 동기유발 개념을 철저하게 거부하였고, 대상, 구조, 발달이라는 색다른 개념을 개발하였다. '자기'가 내면화된 대상관계들 속에서 나타나며, 이런 과정이 매우 어린 시절에 형성된다는 것을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초기 경험의 세밀한 묘사와 달리 일관성 있게 개념을 설명하는 통합적 모델 제시가 부족하다는 아쉬움을 남긴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상관계 상담 - 마가렛 말러 (0) | 2024.09.22 |
---|---|
대상관계 상담 - 도날드 위니캇 (0) | 2024.09.22 |
대상관계 상담 - 멜라니 클라인 (0) | 2024.09.21 |
대상관계 상담 - 상담 방법 및 기법 (0) | 2024.09.21 |
대상관계 상담 - 주요개념 (0) | 2024.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