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대상관계 상담 - 도날드 위니캇

by 우-주 2024. 9. 22.

대상관계 상담의 학자 중 한명인 도날드 위니캇에 대해 알아보자. 도날드 위니캇은 자신의 컨설턴트인 멜라니 클라인의 영향을 받았다. 형태를 제대로 갖춘 심리학 체계를 구축하지는 않았으나 아동발달의 영역에 관심을 두고, 특히 엄마와 아동 간의 상호작용에 주안점을 두고, 부모와 아동간의 관계가 아동의 정서적, 사고적 팔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그의 주장들은 논리적이라기보다는 추론적이며 놀이적 요소를 자극하는 역설을 포함하고 있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자신의 독창적인 시각을 통한 변형으로 전통을 파괴한 후 재창조의 과정으로 오래되고 낡은 전통에 생명력을 불어넣었다.

 

1. 중심 개념

 - 충분히 좋은 엄마

전적으로 의존적인 유아를 위한 최적의 향상성과 위로를 제공하는 환경의 엄마를 의미한다. 유아와 그의 유구에 부응하는 부모 및 환경이 필요함을 매우 강조하였다. 유아에게 필요한 안아주기는 서서히 진화한다. 유아가 크면 곧 엄마의 팔에 안기는 것보다 엄마의 관심 속에 안기는 것이 필요하다. 부모가 실제로 아이를 만지기보다 관심 있게 지켜보고 아이와 얘기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 '괜찮은' 혹은 '이만하면 좋은' 엄마

충분하지만 지나치지 않는 모듬어 주기를 제공하며, 아이에게 무관심하지도 않고 아이의 세계를 침범하거나 지나치게 통제하지도 않는다.

 - 안아주기

의존적인 유아가 필요로 하는 촉진적 환경을 만들어주는 모성적 보살핌이면서 충분히 좋은 어머니의 지속적인 보살핌과 자연스러운 기술을 말한다. 유아는 건강한 아동 발달의 핵심적이고 일반적인 특징인 전능함을 경험하고, 이것은 유아에게 안아주기가 상실되었을 때에 일어나는 분노와 공포에 대한 불가피한 감정이입의 실패를 참을 수 있게 하는 충분한 안전성을 제공한다.

 - 중간대상, 중간형상

 중간대상은 위니캇의 대상관계이론에 끼친 공헌 중 가장 뚜렷한 것이다. 주관적 대상과 진정한 의미의 대상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 단계의 경험을 의미하며, 최초의 '내가 아닌 나 밖의 소유물'이다. 예를 들어 아이가 스트레스 상황이나 잠자러 갈 때 일차적 사랑 대상으로부터의 감정적 분리 과정으로 사용하는 것(부드러운 이불이나 천 조각의 인형 등)이다.

 중간현상은 아이들이 4~6개월부터 8~12개월 정도에서 잠들려고 하는 상황과 같은, 불안 특히 우울한 형태의 불안에 대한 방어로 부드러운 물건을 사용하는 현상이다. 종종 어머니를 생각나게 하는 특징적 냄새와 느낌, 생각을 가진다. 엄마의 부재 시에 위안을 주고 안정을 주는 엄마의 환영을 보존한다. 자신의 통제 하에 있지 않은 엄마와 달리 중간 대상은 통제 아래 있기 때문에 걸음마 아기에게 자율성을 증진시킨다. 

 - 참자기와 거짓자기

아이가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발달한 측면이다. 참자기는 아이의 충동이 엄마에 의해 부응되고 확증되면서, 아이가 환경 및 '나 아닌 세계'를 발견하고, '나의 확립을 하면서 이루어진다. 거짓자기는 매우 이른 대상관계의 시기에 엄마의 적응이 충분하지 않아 아이의 전능감에 부응하고 충족시켜주지 못할 때 발생한다. 거짓자기는 참자기를 은폐하고, 자발적인 행위를 하지 못한다. 자신이 가짜 같고 허무하다는 느낌을 갖게 되며, 사람들과 진정으로 관계하고 있다는 느낌을 갖지 못하게 된다. 

 

2. 평가와 비판

아동의 발달에 대하여 독창적이 영감을 제공하였다. 엄마와 아이 사이의 상호작용이 얼마만큼 아동의 참자기의 발달을 촉진시키며 또한 얼마만큼 저해하느냐에 대하여 독특한 관점을 제공하였다.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정신분석적 사고에 기여하였다. 아동들에게 행한 창조적인 치료 행위 및 아동발달에 관한 독창적인 사상을 통해서 건강한 자기애 및 자기의 중요성을 이야기한 코헛의 개념을 선구하였다. 반면 위니캇의 이론은 종종 부모-아동 관계의 중요성을 과도하게 강조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 외에 다른 요인들이 아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제기된 것이다. 또한 위니캇의 이론은 주로 임상 경험과 관찰에 근거하여 발전되었으며, 객관적인 실험적 증거나 장기적인 연구에 근거한 내용이 아니라는 비판이 있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단상담  (0) 2024.09.22
대상관계 상담 - 마가렛 말러  (0) 2024.09.22
대상관계 상담 - 페어베언  (0) 2024.09.21
대상관계 상담 - 멜라니 클라인  (0) 2024.09.21
대상관계 상담 - 상담 방법 및 기법  (0) 2024.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