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28

성격의 유형과 발달 성격은 우리가 세상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특성으로, 이를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개인 발달에 있어 중요한 과정이다. 성격은 다양한 요소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관리함으로써 개인은 더욱 풍요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게 된다. 1. 성격유형융은 개인의 다양한 성격적 특성을 태도와 기능의 차이로 설명하였다.태도에 따라 성격적 특성을 나누게 되면 개인의 내면적 세계, 외부적 세계에 대한 관심과 에너지를 투여하는 방향성에 따라 외향성과 내향성으로 구분한다. - 외향성: 외부세계에 관심을 지니는 객관적인 태도이다 - 내향성: 내면세계에 관심을 두는 주관적인 태도이다. - 개인은 전적으로 내향적이거나 외향적인 경우는 없으며 두 태도를 모두 가진다. 기능에 따라 성격.. 2024. 9. 17.
자아방어기제 불안은 자아에게 닥칠 위험을 알리는 신호이며, 세 가지 자아 간의 갈등으로 끊임없이 야기된다. 충동적으로 쾌락을 추구하는 원초아와 완벽성을 추구하는 초자아간의 갈등을 감소시키려고 노력한다. 모든 행동이 본능에 의해 동기화되는 것처럼 불안을 피하려 한다는 점에서 방어적이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불안을 원치 않기에, 자기 보호를 위한 다양한 방어기제(defence mechanism)를 사용한다 (1)방어기제자아가 무의식적 충동을 방어하고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체적인 정신적 대처 방법들이며, 개인의 정신적 안정을 유지하고자 하는 노력의 결과물이다. 방어기제는 고통에서 우리를 보호한다는 점에서 유용한 목적에 기여하지만, 무분별하고 충동적으로 사용될 떄는 병리적이 되며, 정신적 문제의 신호일 수 있기 때문에 이.. 2024. 9. 17.
분석심리학 1. 분석심리학의 개요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1875-1961)에 의해 창시된 정신역동적 심리치료이며 인간의 심층적인 무의식 세계를 설명하는 분석심리학이다. 인간의 마음을 의식, 개인무의식, 집단무의식으로 구분하고 자아, 콤플렉스, 원형, 페르조나, 아니마, 아니무스, 그림자, 자기(self) 등의 개념을 제시했다. 인간의 무의식 세계의 구조와 심층심리에 대한 풍부한 개념과 이론을 체계적으로 제공했고, 심리학 뿐만 아니라 종교, 예술, 문학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끼쳤다는 의의가 있다. 2. 융의 생애와 분석심리학의 발전과정1905~1910년까지 6년간 프로이트와 공동작업 후 결별했다. 프로이트 정신분석운동의 후계자이지만, 프로이트의 성욕설에 대해서 부인했. 무의식에는 억압된 성적.. 2024. 9. 16.
상담과정과 기법 1. 상담과정1)상담목표상담은 무의식적 갈등을 의식화하여 개인의 성격구조를 재구성하는 것이다. 본능의 충동에 따르지 않고 현실에 맞게 행동하도록 자아(ego)를 더욱 강화시킨다. 의식되지 않아도 마음속에 잠재해 있는 갈등과 불안을 의식화하면 심리적 긴장이 완화되고, 성격구조의 재구성을 통해 무의식적 원초아의 힘을 약화시킴으로써 의식적 기능의 자아의 힘을 강화시킨다. 무의식의 의식화를 통해 자기 이해와 성장을 촉진하고, 건강한 자기개념을 형성하며, 성숙된 인간관계를 성숙해 나가고, 현실을 있는 그대로 수용함으로써 자기 분석력을 갖춘 사람으로 성장하는 것이 상담의 목표라고 할 수 있다.2)상담자의 기능과 역할코리(correy, 2009)는 정신분석을 지향하는 상담자의 역할을 이야기했다. 지나치게 동일시 하지.. 2024. 9.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