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에릭슨 -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

by 우-주 2024. 9. 8.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심리학자 에릭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에릭슨은 개인이 삶의 다양한 측면에서 어떻게 성장하고 변화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 이론을 제안했습니다. 그의 이론은 삶의 여러 단계에서 나타나는 주요 과제와 성취를 강조하여, 개인과 사회 간의 상호작용에 주목합니다.

 

    1. 기본 신뢰 대 불신: 신체 기능과 힘(0~1세)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은 아이의 발달을 여러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에서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면서 성장한다고 설명합니다. 첫 번째 단계는 신뢰 대 불신 단계로, 이는 출생 후 최초의 1년 동안 발생합니다. 이 단계에서 아이는 주변 세계에 대한 믿음을 형성하며, 신뢰와 안정감을 느끼게 됩니다. 만약 돌봄과 사랑이 부족하면 불신이 발달하게 됩니다. 

 

    2. 자율성 대 수치심: 의지와 자기 통제(2~3세)

두 번째 단계는 자율성 대 수치심 단계로, 이는 2세에서 3세까지의 기간 동안 나타납니다. 아이는 자신의 힘과 능력에 대한 자각을 형성하고, 독립적인 행동을 시도하게 됩니다. 만약 부모나 환경에서 제약이 많다면 자기 통제에 대한 감정이 부정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계속성 대 죽음에 대한 수용: 놀이와 상상(3~6세) 

다음은 계속성 대 죽음에 대한 수용 단계로, 3세에서 6세 사이에 나타납니다. 아이는 상상력을 통해 다양한 역할을 시도하며 세상을 탐험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어떤 것이 옳고 그름이 아니라, 상상과 놀이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게 됩니다.

 

    4. 효율성 대 열등감: 학업과 친구(6~12세)

4번째 단계는 효율성 대 열등감 단계로, 6세에서 12세까지의 시기에 해당합니다. 이 단계에서 아이는 학교에서의 학습과 친구들과의 관계를 통해 자아의 효율성을 찾아가게 됩니다. 세상에서의 성과에 대한 능력과 열등감을 경험하게 되는 단계로, 학업적 성공과 사회적 수용이 중요합니다.

 

    5. 정체성 대 역할 혼란: 자아 식별(12~18세) 

다섯 번째 단계는 정체성 대 역할 혼란 단계로, 12세에서 18세까지의 청소년 시기에 해당합니다. 이 단계에서 개인은 자아를 찾아가고, 진로와 가치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됩니다. 정체성이 분명하지 않을 경우 역할 혼란이 발생하며, 자아를 찾는 과정에서 갈등과 동요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6. 친밀성 대 고립: 연애와 직업(19세 이후)

마지막으로 여섯 번째 단계는 친밀성 대 고립 단계로, 19세 이후의 성인기에 해당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연애와 직업 등에서 친밀한 관계와 사회적 연결을 형성하려고 시도하게 됩니다. 만약 고립되거나 혼자 있는 경험이 지속된다면, 친밀성을 찾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은 인간의 성장과 발달을 다층적이며 지속적인 과정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그의 관점은 개인이 삶의 여러 단계를 통해 주어진 과제를 통해 학습하고 성장하며, 이를 통해 자아의 발전과 사회적 적응을 이끌어내는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자 융의 사상  (0) 2024.09.11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0) 2024.09.11
매슬로우의 욕구 위계 이론  (0) 2024.09.09
프로이트  (0) 2024.09.06
자아개념  (0) 2024.09.05